시스템 : 실행창 열기 단축키윈도우키 + R 시작메뉴Windows 시스템 폴더 하위 검색으로 열기모니터 왼쪽 하단의 시작 아이콘 옆의 검색창에 run 입력하고 엔터키를 친다.[ 실행 ]을 입력해도 나타난다. 실행창이 검색되어 상단에 나타나는데 클릭하면 팝업창이 뜬다. 열기 원하는 내용을 작성한다. 시작프로그램shell:startup 명령어 프롬프트cmd자주쓰는 명령어ipconfig : 컴퓨터의 IP주소와 네트워크 정보 ping : 연결 상태와 속도 측정chkdsk : 디스크 오류 검사, 수정ddfrag : 디스크 조각 모음 DirectX 진단 도구 열기dxdiag Nvidia 드라이버 다운로드https://www.nvidia.com/Download/index.aspx?lang=..
서브스턴스 페인터를 열 때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뜬다. Continue anyway 를 누르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 이용이 가능하지만 하단에 항상 빨간색 글자가 떠서 신경이 쓰였다. Configuration Issues Substance 3D Painter is running on your NVIDIA Geforce GTX 970/PCle/SSE2 GPU. TDR ISSUE Your current TDR(Timeout Detecion Recovery) is Too Low. ... 해결 방법은 파일을 열 때 나온 팝업창에 있는 링크에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있다. 경고창이 뜬 원인을 설명하는 글은 한글이지만 어딘가 어색한 느낌이 있어서 거부감이 들었지만, 실제 해결방법은 따라하기 좋게 설명되어 있다. 레지스트리..
레이어가 늘어나고 옵션을 추가할 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파일. 처음부터 레이어 정리를 잘 하고 불필요하거나 효과가 미미한 레이어를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용량을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들. 1.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 삭제하기. 여러가지 테스트를 위해 불러들인 파일 중에서 일부만 사용하고 나머지 쓰지 않고 남겨진 것들을 정리 할 수 있다. File - Clean... - 팝업 ok 2. General Properties에 있는 Size 숫자를 줄인다. Size는 섭스턴스 페인터 화면에서 보이고 계산하는 텍스쳐의 크기이다. 실제 베이크한 값은 그대로이고 레이어도 많이 쌓여있지만 최종적으로 size크기를 줄여서 저장하면 파일의 용량이 조금이지만 줄어든다. 3. File - Save ..
1. 버텍스 크기 조절 Preference Settings - Viewports 탭 선택 2. Auto Backup, 백업 파일 설정 Preference Settings - Files 탭 3. 뷰포트에서 텍스쳐 해상도 설정 Viewport Configuration - Display Performance 탭 4. 언랩상태에서 보이는 텍스쳐 해상도 조절 Unwrap Options
output format : 대부분 8bit, 16bit 사용한다. 표현할 수 있는 단계(픽셀의 갯수)가 많아지는 만큼 더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다. 텍스쳐 제작 시 디테일한 문양이 있거나 등고선같은 단계가 두드러지는 경우는 픽셀 수의 한계로 더 자세한 표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럴 경우 16bit로 늘려서 제작하지 않는 한 해결되기 어렵지만, 16bit는 무거워지기에 대부분은 8bit로 아웃풋을 뽑게 된다. 섭디, 섭페에서 16bit로 디테일하게 표현하더라도 아웃풋은 8bit라 모든 디테일이 나타나지 않는다. 8bit에서 어느정도까지 표현되는지를 이해하고 어디까지 디테일을 표현해야 효과적인지를 알게 되면 더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체험으로 익히는 영역이다. bake 한 후 나온 Mesh Maps 파..